반응형

 

따사로운 숲 속 자연의 소리와 소근소근 속삭이는 새 소리 입니다.

자연소리-새.mp3
0.12MB
자연소리-새-숲속.mp3
0.12MB
자연소리-숲속-새.mp3
0.13MB

 

 

 

 

 

자연 숲속 바람의 소리입니다. 

잔잔한 소리 입니다.

 

자연-숲속-바람.mp3
0.12MB
자연-숲속-바람1.mp3
0.11MB
자연-숲속-바람2.mp3
0.11MB

반응형
반응형

 

 

 

스크립트 언어 즉 비주류 스크립트 언어인 오토핫키가 직면하고 있는 최대의 단점인 부분이기도 합니다.
스크립트 파일을 컴파일을하고 좀비 PC나, 기타 멀웨어 파일을 합쳐서 배포하지 않는 이상....

 

여러 백신 회사의 프로그램들에게 바이러스 오진 (양성반응) 을 보이곤합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일 수 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토핫키를 접하는 것의 대부분이 게임 매크로 많이들 접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매크로 사용자들은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고 다른 유저들을 방해하고 다양한 업체에서 오토핫키라는 구조

백신회사에 보고하게 되면서, 오토핫키라는 파일이 컴파일을 진행했을시, 윈도우 디펜더 ( Window defender ) 에 걸리거나

백신 프로그램에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오토핫키 소스 개발자가 스크립트를 보호하기 위해 VM Protect 와 같은 패킹 프로그램을 사용하게되면 이 역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디펜더에게 걸리게 됩니다. 

 

 

 

 


 

 

 

 

 

 

https://www.autohotkey.com/boards/viewtopic.php?f=17&t=62266

 

Report False-Positives To Anti-Virus Companies - AutoHotkey Community

Report this post @ Quote 26 Feb 2019, 04:50 Thank you all for posting this valuable resource, thank you all for donating your time for good causes - this is a big issue, especially for businesses and end users of AutoHotkey-made software/applications. It p

www.autohotkey.com

< 안티 바이러스 백신 회사의 거짓 보고서 관련 해외 커뮤니티 포럼 자료 >

 

 

 

 

이 문제는, 해외 오토핫키 커뮤니티 포럼에서도 많이 다루고 있는, 그리고 지금도 다뤄지고 있는 문제입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이 들긴합니다. 오토핫키라는 스크립트 언어가 접근하기도 쉽고

진입장벽도 낮고 어린아이들도 조금만 배우면 만들 수 있는 스크립트 언어 이니까요

 

이 말은 즉, 악용을 하는 방법이 더 많다는 것이겠지요  

 

 

 

 


 

 

 

백신 혹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디펜더의 오인 감지로 인해
컴파일을 배포하는 제작자가 피해를 볼 수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1. 분석이나 검증을 위한 자료를 백신회사에게 뿌려야하고, 만약 검증과 분석이 없다면, 온라인 서명을 구매해야합니다.
2. 구매자 혹은 사용자들은 백신에 바이러스가 뜨는 것만으로 제작자에 대한 불신과 신뢰를 깎일 수 있다.

3. 잘못된 식별로 인해, 오토핫키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업체와 제작자에게 해를 끼치는 하나의 형태로 변형된다.

 

 

 


 

어쩔 수 없습니다.하하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는 법이라고, 저는 지금까지 괜찮았으나, 하드한 작업을 진행하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배포할때 여간 귀찮은게 아니더군요.. 그래서 요즘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른 언어로 갈아 타야할까 ㅎㅎ 이런생각요

 

 

https://m.ppomppu.co.kr/new/bbs_view.php?id=jjalbang&no=14125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간단 ( ? )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디펜더

https://peuming.tistory.com/25

 

윈도우 디펜더 Microsoft Defender SmartScreen : 예외설정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PC를 보호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내장 설정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디펜더(Microsoft Defender)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보안 소프트웨어입

peuming.tistory.com

 

예외설정을 해주면됩니다. 간단합니다.

 

 

 

 

 

 

AhnLab V3 Lite 

 

예외설정을 해주면됩니다. 간단합니다.

 

 

 

 

예외설정이 없는 백신 프로그램은

그냥 제거해주시면됩니다.

 

 


 

 

스크립트를 보호하기위해 VM 패킹을 한다지만,

패킹을 하면 바이러스 오진이 뜰 가능성이 높고,

 

바이러스 오진을 해결하기 위해 인증서를 외부에서 구매해야하고..

( 만든 프로그램의 검증과 분석요청이 빡셉니다.)

만약 패킹을 하지않았을 경우 스크립트파일이 바로 뜯기니..

참 아이러니하네요

 

오토핫키가 간단하고 접근하기 쉬운 스크립트 언어이긴하나,

그만큼 오픈소스인 만큼,... 뜯기가 쉽습니다.

 

패킹을해도 디버깅 고수들은 그냥 뚫지요 하하 

 

 

 

 

 

반응형
반응형

Break
모든 회돌이 즉 Loop , For , While 반복문이라고 지칭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복문안에, 특정한 조건에 의해 탈출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Break 을 사용하여 탈출 할 수 있습니다.

https://autohotkeykr.sourceforge.net/docs/commands/Break.htm

 

Break

Break 회돌이를 빠져 나옵니다. 모든 종류의 회돌이에 적용됩니다. Break [, LoopLabel] [AHK_L 59+]: 지정되면, LoopLabel은 이 서술문을 적용해야 할 회돌이를 식별합니다; 라벨 이름 또는 숫치로 지정된 내

autohotkeykr.sourceforge.net

 

오토핫키 한글 Help 파일주소 입니다. 
위에 주소에 나와있는 설명을 보면, Break 에도 옵션이 존재하는데요, 

기본문법

Break [, LoopLabel]

LoopLabel 
값을 지정하면 외부 회돌이로 빠져나갑니다. 

out:
Loop,10
{
	main:= A_index
	Loop,10
	{
		Count:= A_Index
		Loop,3
		{
			msgbox,% "할아버지:" main "`n부모:" Count "`n자식:" A_index
			if(Count = 2){
				break out
			}
		}
	}
}

msgbox,끝

exitapp

테스트파일.ahk
0.00MB

 

 

소스코드를 보면 많이 복잡해보일 수 도 있습니다.
첫번째 Loop, 의 Main은 첫번째 반복문의 A_index 순차적으로 커지는 값을 넣고

두번째 Loop, 의 Count는 두번째 반복문의 A_index 순차적으로 커지는 값읗 넣습니다
동일하게 세번째 Loop,의 A_index의 값을 메세지박스로 출력하며, 

조건문 Count 의 두번째 루프값이 2가 되었을경우,
Break out이 실행되며, out 레이블에 정의된 값으로 외부 루프에서 탈출하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여름 밤 잔잔한 매미소리 mp3 파일 입니다

매미소리1.mp3
0.15MB
매미소리2.mp3
0.10MB
매미소리3.mp3
0.17MB

 

 

맑은 계곡물이 조르르 흐르는 mp3 파일입니다
시원한 계곡물의 느낌을 주는 소리입니다.

계곡물소리1.mp3
0.14MB
계곡물소리2.mp3
0.13MB
계곡물소리3.mp3
0.13MB

반응형

+ Recent posts